최근 springframework3.1(이하 spring) 로 프로젝을 시작했다.
뭐 몇년만에 고향에 돌아온 기분이라고 해야하나?
그동안 간간히 사용은 하고 있었지만.. 초딩들이 사용하는 것처럼 그냥 예전에 습득한 기술들 그냥 되색임 하는 정도였지..
제대로 사용하지는 않았다.
뭐 지금은 어느덧 PHP개발자가 되어 있는 나에게 JAVA따윈 귀찮은 녀석이었을 뿐이니까;
암튼 사설이 길어졌;;
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머냐면..
왜 그런거 있잖아.. 서버에 config 같은거 jsp에서 쓰고 싶을때..
config는 xml이나 properties 같은걸로 욜라 설정 다 빼놓고..
jsp에선 막 <% 컨피그.load('xxxxx'); blah blah~ %> 막 이렇게 꺼내고 싶진는 안단말이지.
그럼 jsp el 태그로 꺼낸다고 쳤을때..
어케 하면 잘 설정해줄수 있을까?
첨에는 ContextLoaderListener같은거 구현해서 처음 로딩할 때 servletContext에다가 쳐 넣을까? 했었고.
담에는 spring의 viewResolvers의 setAttributeMap 을 통해서 request의 attribute에다가 넣을까 했었고.
그리고 두번째 방법으로 넣어서 ..
jsp에서 ${config.url} (사실 이렇게 호출하면 엿된다. 왜일까? 1초만 생각해보면 알 문제이다-.-; 난 한 20분 걸린듯..ㅋ)
이런식의 el로 꺼낼수 있다. ${app['config.url']} 이렇게 말이지.
이런식?;
암튼..
근데 .. 이렇게 한지 한 10분이 지났나.. spring reference를 보다가 갑자기 spring eval이 보였고..
처음 spring eval 기능이 튀져나왔을 봤던 기억이 세록 떠오르며....
아 삽질했구나 생각이 들었다..
그냥 이렇게 하면 아까 두번째 한 attributeMap에 넣는 설정 부분은 그냥 지우고..
바로 설정에 접근할수 있다..
역시 사람은 머리가 나쁘면 시간 버리고 고생한다..
삽질했던 기억을 더듬으면서...
간만에 포스팅.
그리고 쓰잘때기 없던 나의 삽질에 시간을 빌려준 . whiteship, arawn 두 행님께 감사를 ..ㅎㅎ
댓글을 달아 주세요